go_bunzee

AI 인격 디자인의 시대와 디자이너의 역할 변화 | 매거진에 참여하세요

questTypeString.01quest1SubTypeString.03
publish_date : 25.06.27

AI 인격 디자인의 시대와 디자이너의 역할 변화

#디자이너 #AI #챗봇 #인격 #성격 #페르소나 #디자인

content_guide

‘브랜드’에 감정을 입히는 시대

예전에는 브랜드의 핵심이 로고, 색상, 톤앤매너였다면 지금은 “이 브랜드라면 어떻게 말할까?”라는 질문이 훨씬 중요해졌습니다.
디자이너들은 더 이상 UI만 잘 짜면 되는 시대에 살고 있지 않죠.

이제는 AI 챗봇, 음성 인터페이스, 디지털 휴먼, 브랜드 캐릭터의 톤앤보이스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AI 인격 디자인’이란 개념이 등장합니다.
우리는 브랜드의 얼굴뿐 아니라, 성격까지 디자인해야 하는 시대에 들어선 겁니다.

AI 페르소나는 왜 중요할까?

사용자는 점점 AI가 누구처럼 행동하느냐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같은 기능을 하더라도, 말투 하나, 어투 하나에 따라 브랜드의 신뢰도나 친근도가 달라집니다.

  • - 밝고 명랑한 AI vs. 전문가스러운 냉철한 AI

  • - 이모티콘을 자주 쓰는 AI vs. 정제된 표현만 사용하는 AI

이 모든 것은 단순한 문장 조합이 아니라, 브랜드 철학과 사용자 기대치의 교차점에서 디자인되어야 합니다.
결국 AI는 브랜드의 또 다른 ‘대화형 인터페이스’이며, 이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주체가 바로 디자이너입니다.

디자이너가 설계하는 AI 인격의 구성요소

AI 인격은 다음의 요소들이 조합된 결과물입니다. 마치 캐릭터 시트를 만드는 것처럼 구성할 수 있죠.

구성 요소

설명

말투 & 어휘

존댓말/반말 여부, 전문용어 vs 일상어

어조 & 정서

차분한 / 유쾌한 / 중립적인

속도 & 반응 방식

즉답형 / 숙고형 / 질문반환형

성격 키워드

배려심, 위트, 지적, 격려형 등

시각적 표현

아바타, 이모지 사용 여부, 타이포 스타일

이러한 구성은 단순 UX 문구 가이드를 넘어서 AI 답변 가이드라인 + UI 캐릭터 시스템 + 대화형 스크립트를 아우르는 형태로 발전합니다.

실전: 브랜드 AI 인격 설계 사례

1. CharacterGPT

AI의 성격, 외모, 말투를 사용자에게 직접 정의하게 한 서비스.
초기에는 “재미” 위주였지만 지금은 브랜드 봇 디자인에도 활용됩니다.

2. Replika

인격형 AI로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읽고 반응. 말투, 표현, 심지어 아이콘 표정까지 모두 퍼스널라이징 가능.

디자이너의 새로운 역할: ‘AI 심리 UX 디자이너

이 흐름 속에서 디자이너의 역할은 UX 디자이너 → 심리형 페르소나 디자이너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이제는 단순히 ‘이용자 흐름’을 넘어서, AI의 감정적 반응 설계를 다루는 시대입니다.

필요한 역량

  • - 사용자 심리 이해 (감정 흐름에 따른 어조 조절)

  • - 시나리오 기반 페르소나 설계 경험

  • - 브랜드 아이덴티티 해석 능력

  • - NLP Prompt 설계 및 테스트 경험

팀 구성의 변화

  • 브랜드 디자이너 + UX 디자이너 + AI 시나리오 기획자

  • 일부 기업에서는 “AI 페르소나 디자이너”라는 역할이 공식 포지션으로 생기고 있음

앞으로의 흐름: 인간과 AI 사이에서 브랜드를 지킨다는 것

AI가 대중화될수록 사용자 경험의 질은 ‘기능’이 아니라 정서적 신뢰에서 갈리게 됩니다.
우리가 설계하는 것은 단순한 사용자 여정이 아니라, 브랜드와 사용자의 관계입니다.
이 관계를 AI라는 새로운 접점에서 책임지는 것이 디자이너의 임무로 바뀌고 있습니다.

AI 인격 디자인은 트렌드가 아니라 필드입니다.
이제 디자이너는 단순히 무언가를 “예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가 어떻게 말하고, 어떻게 기억되는지를 설계해야 합니다.

다음번 브랜드 챗봇 프로젝트를 맡게 된다면, ‘대화 UX’가 아닌 ‘브랜드 인격 설계’라는 관점에서 시작해보세요.
당신의 역할은 분명 새로워질 겁니다.

AI persona insights: bunzee.ai